brightmoon

[Study] 전기기사 수험용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SOLVE, 분수, 허수 계산) 본문

- Writing/[Study]

[Study] 전기기사 수험용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SOLVE, 분수, 허수 계산)

밝은달. 2025. 11. 12. 00:55
728x90
반응형

 

 

고향에서 일하다가 우연한 기회에 전기기사라는 자격증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었다.

수포자인 바람에 필기만 6번 떨어지는둥 여러 고비가 있었으나,

부족한 수학능력은 계산기로 메꾸면서

포기하지않고 노력하니 주변사람들도 도와주고 운도 따라줘서

2023년에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길로 관련 직종으로 취직해 현재는 1년반 넘게 열심히(?) 일하고있다.

 

 

 

내가 전기기사 공부하면서 사용했던 공학용 계산기(CASIO fx-570ES PLUS).

 

서두가 길었으나,

아무튼 수포자인 나도 전기기사 합격을 가능하게 해준것이 바로 요 공학용 계산기이다.

내가 주로 사용했던 기능은 분수, 허수계산, 삼각함수 , 방정식 계산 , 이었고,

나머지는 거의 사용하지않았다.

 

기사 따는데 사용했던 기능 따악 4가지만 소개하고 오늘 글은 끝마치도록 하겠다

참고로 설명은  내가 가지고 있는 " CASIO fx-570ES PLUS" 기준이며,

거의 시험용으로 사용가능한 기종들은거의 사용법이 비슷하거나 동일한것으로 알고있다.

 

그리고 기본사칙연산(더하기,곱하기,나누기,빼기) 계산법은 일반 계산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패스하겠다.

그냥 정말 'On' 키눌러서 킨다음 숫자누르고 더하기 곱하기 나누기 누르고 = 누르면 끝이다.

 그리고 참고로 끄는키는 다알겠지만  'SHIFT' 키를 누른후 'AC' 버튼을 누르면 꺼진다

 

 

 

 

 

 

 

 

 

 

0. 계산기 기능을 설명하기 앞서서...

공학용계산기의 각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기본적인 매커니즘을 이해해야한다.

핵심은 왼쪽 상단의  노란색의 'SHIFT '키와  붉은색' ALPHA ' 키다.

그리고 하얀색으로 각인이된 버튼 위쪽에 작은 글씨들이 노란색, 혹은 붉은색으로 써져있는것을 볼 수있다

 

이게 무슨의미이냐면,  선행키를 아무것도 누르지않은 상태에서 아래 버튼들을 누르면 하얀색 각인이된 버튼들로 입력이되고,

선행으로 붉은색 ' ALPHA '를누른후 버튼을 누르면, 버튼 상단에 작은 붉은색으로 쓰인 기능들이 입력되는식이다.

마찬가지로 노란색 'SHIFT '키를 누른후 하얀버튼을 누르면 버튼 상단에 작은 노란색으로 쓰인 기능들이 입력된다

 

 

 

자 얼추 이해가 됐는가?

이해가 되지않았더라도 괜찮다.

기능 글을 보면서 이해하면된다.

 

 

 

 

 

 

 1. 방정식 자동 계산기능 (SOLVE) 기능

 

 공학용 계산기의 꽃과 같은  기능이다.

방정식의   X의 값을 계산기로 바로 구해주는 기능으로,

이것만알아도 많은 문제가 해결가능하다

1. on을 눌러 계산기를 켠다.
2. on 버튼 좌측의 mode setup 버튼을 누른다
3.1번을 눌러 comp 모드로 변경해준다 (이모드로 들어가지않으면 방정식계산했을때 에러가 뜬다)
4. 계산하고 싶은 방정식을 계산기에 작성한다.
    1)미지수 x는 'ALPHA'버튼을 누른 후->')'(붉은색'X')키를 누르면 된다 .
    2) 등호(=)는 계산기의 우측아래 =표시가 아니라, 'ALPHA'버튼을 누른 후->'CALC'(붉은색'=')키를 누르면 된다
    3)방정식을 전부 입력했다면 'SHIFT '키를 앞서서 한번누르고, 'CALC' (노란색'SOLVE') 키를 누르고 한참기다리면...
     (처음하는계산은 답이뜨는데 한참걸린다)
    4)  화면에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나오게된다.
          (내가쓴 방정식)
          X=2
          L-R=-2
     5) 여기서 '  X=2 '는 말그대로 미지수인 x의 답을 나타내는것이고,
          L-R=-2은 중복근이 있는경우 나타내는 란으로, 중복근이없다면 보통 0이 나타난다.

 

 

 

2. 분수 계산하기 (분수값을 소수로 보기)

앞서서 계산기는 켰을테니 계산기를 키는것은 생략하겠다.

1.   '믐' 모양키를 누르고, 방향키로 깜빡거리는 커서를 옮겨 내가 원하는 숫자를 분자와 분모에 입력한다.
      분수안에서 사칙연산을 하거나, 또다시 분수를 넣어 계산하는것도 가능하다 (계산기 최고!)
2. 식입력이 완료되면, 좌측하단의 '='키를 눌러 답을 확인하면 끝.
3. 답이 분수로 출력되는 경우, 간단하게 ' S↔D '키를 누르면 소수로 숫자를 확인 할 수 있다.

 

 

 

 

3. 허수(i) 계산하고,  허수 값을 크기와 각으로 보기(극형식으로 보기)

1. on 버튼 좌측의 mode setup 버튼을 누른다
2. 2번을 눌러 CMPLX 모드로 들어간다 (이모드를 들어가야만 허수 계산이 가능하다. 다른모드에서는 허수 i 입력자체가 불가능하다)
3. 계산하고 싶은 허수 계산식을 작성한다.
    1) 허수 i같은 경우 ,  'SHIFT '키를 앞서서 한번누르고,'ENG' (보라색'i') 버튼을 눌러 입력하면 된다.
    2)반드시 허수 i는 실수 다음에 오도록 작성해야하며(ex:10i, 34i, 12i... 등등) 만약 거꾸로 (ex:i 10 , i 34 , i 12 ... 등등)
       작성할 경우 계산시 에러가 뜬다
4. 계산식 작성이 끝났으면 우측하단의 '='키를 눌러 답을 확인한다.
    1)일반적으로 답은 복소수(허수+실수)조합이다
    2)극좌표(각과 크기로 표시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답을 보고 싶은 경우
       1. 'SHIFT '키를 앞서서 한번누르고
       2. '2'번숫자키를 눌러주고
       3. 다시 '3'번숫자키를 눌러주고
       4. '='버튼을 누르면 극좌표 형식으로 볼 수 있다

    3) 단.계산값으로 출력되거나 내가 입력하는 값의 각도를 정수(몇도)가 아니라 파이(라디안)단위로 입력하거나 보고싶은경우,
        1. 'SHIFT '키를 앞서서 한번누르고
        2. on 버튼 좌측의 mode setup 버튼을 누른다
        3. '4'번키를눌러 Rad(라디안)을 선택한다.
        4. 반대로  라디안이아니라 정수(몇도)로 보고싶은경우, 1~2번을 반복한후 '3'번키를 눌러 Deg(디그리)를 선택하면된다

 

 

 

 

 

4.  삼각함수 크기 안외우고 계산기한테 물어보기

sin45도는 몇이고 cos90도는 몇이고...

난 기하와 벡터시간에 꿀잠을자서  머리에 데이터베이스가 없다

다시외우자니 머리에 쥐가 나서 나는 그냥 공학용계산기에 그때그떄 쳐서 확인한다

1. 계산기의
중 값을 알기 원하는 삼각함수버튼을누른다
(쉬프트 누르고 누르면 역코사인이나 역탄젠트 역사인도가능)
2. 원하는 각도를 입력하고 '='키를 누른다
3. 해당값을 가지고 추가 계산을 해야하는경우,
   원하는 각도를 입력한후 ')' 버튼을 눌러 반드시 괄호를 닫아주고 신나게 계산식을 쳐주면된다
   괄호를 안닫아주면 신나게 에러가 난다
※ 주의사항 : 답이 요상하게 나오거나 에러가 뜨는경우, 각도의 단위가 디그리(deg)로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야한다※
   디그리( Deg) 로 바꾸는 방법은
        1. 'SHIFT '키를 앞서서 한번누르고
        2. on 버튼 좌측의 mode setup 버튼을 누른다
        3. '3'번키를 눌러 Deg(디그리)를 선택하면된다

 

 

5.  그외기능

나머지기능들은뭐... 사칙연산이나 log 함수, 제곱 입력하기, 루트 입력하기 정도만 쓰면 된다.

행렬계산도 되던데 연습할때 써보고 안쓴듯 하다.

 

사실 로그함수는 거의 잘안쓰고

제곱이나 루트 정도만 자주 쓰는데 이는 따로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없이

보이는 대로 버튼 누르면 나오는 거라 크게 설명할 거리가 없다

  루트 입력하기  :

해당버튼을 누르고, 커서를 네모안으로 옮겨 원하는 숫자를 쳐넣으면 된다
제곱 입력하기 :

해당버튼을 누르고, 커서를 네모안으로 옮겨 원하는 숫자를 쳐넣으면 된다

 

 

 

 

 

6. 수험용 계산기 사용의 방향성

 

나는 거의 모든 계산 문제를 계산기에 의지해서 풀었다.

나처럼 숫자에 재능이없는 사람들은 왠만하면 자신이 계산한 숫자를 믿지 말고 

 식만 세우고, 계산은 계산기에 맡기는 식으로 공부를하는게 편하지않을가 싶다 (나도 그렇게 했었다)

 

 

 

오늘글은 요기 까지이다.

이제 요이후로는 전기기사 공부법이나 관련내용들이나 경험담을 쭉쭉올려보려한다

목적은... 블로그 글을 쓰고싶은데 딱히 쓸거리가 없어서....

어쨌든 많은사람들 한테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Comments